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경영난을 겪고 있는 인텔의 지분 일부를 취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 정부가 직접 자금을 투입해 인텔의 미국 내 생산 확대를 뒷받침하겠다는 구상이다.
14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과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이 백악관 면담을 진행했다. 인수 규모와 구체적인 조건은 확정되지 않았으며 모든 계획은 유동적인 단계로 알려졌다.
인텔은 공식 입장에서 “미국의 기술·제조 리더십 강화를 위한 트럼프 대통령의 노력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며, 행정부와의 협력을 이어가길 기대한다”면서도 “소문이나 추측에는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백악관도 별도의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인텔은 최근 비용 절감과 인력 감축에 나서는 등 재무 구조 개선에 몰두하고 있다. 미국 오하이오주에 조성하려던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공장 계획 역시 재정난과 수요 부진으로 여러 차례 지연됐다. 팻 겔싱어 전 CEO는 파운드리 사업과 오하이오 공장 확장을 핵심 복귀 전략으로 내세웠으나 고객 확보에 실패했고, 올해 초 착공 시점을 2030년대 이후로 미뤘다. 지난 3월 취임한 탄 CEO는 재무 건전성 회복에 집중하고 있다.
정부가 인텔 지분을 인수할 경우 자금난 해소와 사업 정상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탄 CEO의 중국과의 연계 의혹을 제기하며 사임을 요구했던 전례를 고려하면 이번 거래 성사 시 그의 거취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핵심 산업 기업에 직접 개입하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엔비디아·AMD의 대(對)중국 AI 반도체 판매 허가 대가로 매출의 15%를 확보했고,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승인 과정에서는 경영 거부권이 있는 황금주(골든셰어)를 취득했다. 또 미 국방부는 지난 7월 희토류 생산업체 MP머티리얼스의 우선주 지분 4억달러어치를 매입하며 최대주주에 올랐다.
앞서 인텔 주가는 2024년 60% 폭락하며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지만, 올해 들어 약 19% 반등했다. 업계는 이번 협상이 성사될 경우 인텔의 재도약 발판이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전대현 기자
jdh@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