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MS)가 업무용 생성형 AI 서비스에 챗GPT 개발사 ‘오픈AI 라이벌’인 앤스로픽의 인공지능(AI) 모델을 도입하기로 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24일(현지시각) MS 365의 코파일럿 어시스턴트에서 앤스로픽의 AI 모델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 MS 홈페이지 캡처
마이크로소프트(MS는 24일(현지시각) MS 365의 코파일럿 어시스턴트에서 앤스로픽의 AI 모델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 MS 홈페이지 캡처

MS는 24일(현지시각) 자사 홈페이지에서 MS 365의 코파일럿 어시스턴트에서 앤스로픽의 AI 모델을 일부 질의응답에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앤스로픽 AI 모델은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역할을 하는 리서치 도우미(Researcher) 기능에 적용된다.

이에 따라 조기 AI 기능 접근 프로그램인 MS 프론티어(Frontier)에 참여하는 기업이나 기관 직원들은 오픈AI 모델 외에도 앤스로픽의 ‘클로드 오푸스4.1’ 추론 모델을 선택할 수 있게 됐다. AI 에이전트 제작 도구인 코파일럿 스튜디오에서 기업들이 자체 AI 에이전트를 구축할 때 ‘클로드 소네트4’와 ‘클로드 오푸스4.1’을 선택할 수도 있다.

찰스 라만나 MS 비즈니스 및 산업 코파일럿 부문 사장은 “앤스로픽 모델이 앞으로 MS 365 코파일럿에 더 강력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MS가 앤스로픽 AI모델을 도입한 것은 오픈AI 모델에 의존해온 생성형 AI 전략을 다변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MS는 작년에도 개발자를 위한 AI 프로그래밍 비서인 ‘깃허브 코파일럿 챗’에서 오픈AI뿐 아니라 앤스로픽과 구글 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바 있다.

협력 방식도 점차 변화하는 중이다. 오픈AI는 MS 외에도 수많은 파트너를 확보했다. 최근 미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기업 오라클과 3000억달러 협력 계획을 발표했고 브로드컴과 100억달러 계약을 체결했다.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턴 수천억달러를 투자받을 예정이다. AI 칩 대장 기업 엔비디아 역시 오픈AI에 최대 1000억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윤승준 기자
sjyoon@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