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고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KT 수뇌부가 하루 두 차례나 국정감사장에 섰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이진숙 전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위원장에게 관심이 쏠렸지만, 해킹 사태의 책임 당사자인 김영섭 KT 대표와 이현석 커스터머부문 부사장을 향한 비판은 여전히 거셌다. 

김영섭 KT 대표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자리에 앉아 있다. / 김광연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자리에 앉아 있다. / 김광연 기자

김영섭 대표는 14일 오후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9월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에서 열린 KT·롯데카드 청문회 이후 약 20일 만의 국회 출석이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감에는 불참하고 오후 세션부터 참석했다. 굳은 표정으로 증인석에 앉은 그는 오후 출석자들을 대표해 증인 선서를 했다.

정무위의 질의 초점은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에게 맞춰졌다. MBK파트너스는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를 낳은 홈플러스와 해킹 피해를 입힌 롯데카드의 대주주다. 김 대표를 향한 질의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

한 차례 발언 기회를 얻은 김 대표는 “KT가 여러 부분에서 관리와 사전 예방을 제대로 하지 못해 국민과 고객께 불안감을 드린 점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앞으로 혁신하겠다”고 말했다.

애초 김 대표는 같은 날 열린 과방위 국감에도 증인으로 채택됐다. 다만 하루 전인 13일 이현석 부사장으로 증인이 교체돼 이날 오전에는 출석하지 않았다. 과방위에서도 이진숙 전 방미통위 위원장을 둘러싼 질의가 이어지면서 KT 해킹 사태는 주요 쟁점으로 다뤄지지 않았다.

김 대표는 10월 21일 과방위 국감과 10월 30일 행정안전위원회 종합 국감에도 증인으로 채택돼, 두 차례 더 국회에 출석해야 한다.

KT는 불법 펨토셀을 개조한 해커들로부터 가입자 2만명의 국제이동가입자식별번호(IMSI),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휴대전화 번호 등이 유출됐다. 해커들은 이를 이용해 가입자 동의 없이 무단 소액결제를 진행해 금전 피해를 발생시켰다.

사건의 본질은 해킹 사고 자체뿐 아니라 KT의 부실 대응에 있다. KT는 정부에 허위자료를 제출하고 증거를 은닉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KT는 해킹 관련 서버의 폐기 시점을 허위로 보고했다. KT는 국회에 “8월 1일 관련 서버를 모두 폐기했다”고 제출했으나, 실제로는 8월 1일(2대), 8월 6일(4대), 8월 13일(2대) 등 총 8대를 순차적으로 폐기했다. 또한 폐기 서버의 백업 로그가 존재했음에도 9월 18일까지 과기정통부 조사단에 보고하지 않았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KT가 정부 조사를 방해한 정황이 있다고 판단해 10월 2일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