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전반에 만 60세로 제한된 정년 연장 바람이 몰아치고 있다. 인력 구조 재편에 한창인 이동통신 업계도 남의 일이 아니지만 시행 여부를 놓고는 '신중모드'다.

시민들이 9월 6일 서울의 한 휴대폰 판매 대리점 앞을 지나가고 있다. / 뉴스1
시민들이 9월 6일 서울의 한 휴대폰 판매 대리점 앞을 지나가고 있다. / 뉴스1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년 연장과 관련해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내년 1분기까지 정년연장을 포함한 고령자 계속 고용 문제와 관련해 노사 합의를 이끌어 낼 전망이다.

이미 정부를 중심으로 정년 연장 움직임을 본격화한 상태다. 최근 행정안전부와 대구시가 노사 협의 끝에 공무직 공무원의 정년을 65세까지 단계적으로 연장하기로 했다.

정부 정책을 이어받아 시행하는 산업계로서는 현 상황을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다. 현재 포화상태에 이른 '통신' 영역에 힘을 빼고 긴축 재정에 돌입한 통신업계가 특히 그렇다. 

인력 감축과 정년 연장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KT는 최근 대규모 조직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자회사 전출에 동의한 직원은 정년 이후에도 3년간 촉탁직 고용을 보장하기로 한 게 대표적이다. 촉탁직은 사업주가 통상 전년에 도달한 근로자를 재고용할 때 계약직으로 근로관계가 이어지는 경우를 뜻한다.

정년 연장은 최근 통신업계에서 줄기차게 제기되는 사안이다. LG유플러스 제2노조는 최근 회사를 향해 "만 65세로 정년을 연장하라"고 요구했다. SK텔레콤은 같은 SK그룹 계열사인 SK하이닉스 생산직 노조에서 정년을 만 65세로 연장하라고 요청했다.

정년 연장이 곧 비용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회사에는 부담이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당장은 정년 연장에 대해 준비하고 있지는 않지만 연공서열로 인해 고연봉을 받는 직원들의 정년이 연장된다면 아무래도 회사 입장에서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며 "인건비 등을 고려해 현행 임금피크제 시기를 더 연장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임금피크제는 근로자가 일정 연령에 도달하면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고용을 보장하는 제도다. 근로자가 만 58세 혹은 만 59세가 되면 회사는 기준 연봉의 80~90% 정도를 지급하고 정년을 보장하는데 이통3사 모두 이를 운영하고 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