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위권 가상자산 거래소인 고팍스의 예치 서비스 ‘고파이’에 자금이 묶인 피해자들이 금융당국에 다시 한번 바이낸스 신고 수리를 촉구하고 나섰다. 고파이 사태 이후 1년 넘게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면서 이에 따른 불만을 표출한 것이다. 

8 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진행된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 / 원재연 기자
8 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진행된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 / 원재연 기자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박민규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최로 진행된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에서 바이낸스 관계자들과 고팍스 관계자들은 "고파이 사용자들의 피해 회복을 우선 과제로 삼아 달라"고 호소했다. 

고팍스는 지난 2022년 FTX 파산 여파로 예치 서비스 ‘고파이’의 자금 인출이 중단, 3000여 명 투자자의 자산 1000억원이 묶인 상태다. 이후 바이낸스가 고팍스 인수를 추진하며 출금 재개를 위한 투자 협약(IRI)을 체결했지만, 지난 2023년 2월 제출된 임원 변경 신고가 지금까지도 수리되지 않으면서 피해 구제가 지연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금융정보분석원(FIU)은 바이낸스의 최대주주 구조에 우려를 표시하고, 고팍스 측에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헤어컷(부분 탕감)’ 동의 절차까지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참석한 한 투자자는 “2023년 2월 바이낸스의 임원 변경 신고가 접수됐지만, 특금법상 불수리 사유가 없음에도 1년 4개월이 지나도록 처리되지 않고 있다”며 “당국의 묵묵부답 속에 피해자들은 법무법인을 선임해 진정서를 제출했지만 이마저도 답이 없다”고 호소했다. 

바이낸스측은 고파이 피해에 대한 책임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스티브 영 킴 바이낸스 이사는 “고팍스가 헤어컷 요청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바이낸스의 의중은 아니었다”며 “당시 고팍스의 기업가치는 사실상 제로에 수렴했고, 고파이 피해자들의 부채 규모가 이를 초과해 일반 투자사들은 고려조차 하기 어려운 구조였다”고 말했다. 

조영중 고팍스 대표는 “2023년 3~4월 고팍스는 존속 자체가 위태로운 상황이었기 때문에 300억, 500억이라도 조달해서 전액이 아닌 부분 변제라도 하자는 생각이었다”며 “당시 고파이 채권 규모가 지나치게 크다는 이유로, 피해자들의 동의를 전제로 일부 손실(헤어컷)을 감수하는 조건이라면 투자 유치가 가능하니 검토해보자는 취지였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또한 “회사가 존속할 수 있었던 이유는 크게 세 가지”라며 “위기 때마다 바이낸스가 책임 의사를 밝혀왔고, 전북은행은 금융기관 이상의 자세로 협조했으며, 피해자들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지급청구 대신 회사를 지켜봐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