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3129억원, 영업이익 286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9% 감소했다.

CJ ENM. / 뉴스1
CJ ENM. / 뉴스1

CJ ENM은 엔터테인먼트 사업 부문이 콘텐츠 시청률 및 화제성 개선, 미국 스튜디오 피프스시즌(FIFTH SEASON) 흑자 전환, 일본 라포네 엔터테인먼트 호실적 등을 기반으로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는 ‘미지의 서울’, ‘언젠가는 슬기로운 전공의 생활’ 등 화제작이 나왔지만 광고 시장 침체 영향을 받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5% 감소한 3193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손실은 80억원이다. 티빙은 6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웨이브 임원겸임 결합승인 이후 웨이브와 시너지 창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실제 티빙·웨이브 더블이용권, 배달의민족 제휴 등을 통해 티빙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및 신규 가입자가 늘면서 광고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8% 성장했다.

영화드라마 부문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2.7% 증가한 4105억원으로 집계됐다. 영화드라마 부문의 영업손실은 12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음악 부문은 일본 음반 판매 및 콘서트 흥행을 기반으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9.5% 증가한 1972억원을 달성했다. 커머스 부문은 같은 기간 3.7% 증가한 385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CJ ENM은 올해 웰메이드 콘텐츠 제작 경쟁력 강화, 디지털 플랫폼 강화, e커머스 역량 강화 등 전략에 따라 사업을 고도화한다.

또 ‘폭군의 셰프’, ‘태풍상사’ 등 기대작 드라마·예능을 선보이며 성장세를 이어갈 계획이다. 티빙은 웨이브 시너지를 강화하며 ‘친애하는 X’, ‘환승연애4’ 등 티빙 오리지널과 한국프로야구(KBO)를 비롯한 스포츠 콘텐츠로 손익 개선을 추진한다. 음악 부문은 한일합작 ‘언프리티 랩스타: 힙팝 프린세스’ 등으로 신규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해외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 커머스 부문은 e커머스 플랫폼 경쟁력 제고에 주력한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