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가 한 달 새 무려 4번이나 국회에 출석했다. 무단 소액결제 해킹 여파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진 데 따른 결과다. 김 대표는 최근 해킹 사태에 대해 고개를 숙이면서도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전 고객 번호이동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즉답을 피했다.

김 대표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 국정감사에 나왔다. 9월 24일 KT·롯데카드 해킹 청문회를 시작으로 10월 14일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21일 과방위 국정감사까지 숨 가쁜 일정을 소화했다.

김영섭 KT 대표가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증인 선서를 위해 단상에 서고 있다. / 김광연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증인 선서를 위해 단상에 서고 있다. / 김광연 기자

한 회사 수장이 국감 기간 한 번이 아니라 수차례 국회에 불려 나오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그만큼 국회가 이번 KT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김 대표는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부터 전 고객 위약금 면제 가능성 질의를 받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관합동조사단과 경찰 수사 결과와 고객들의 피해 내용 등을 종합 판단해서 결정해야 한다”며 판단을 유보했다.

김영섭 대표는 또 이미 번호이동을 한 고객과 관련해서는 “향후 위약금 면제를 하게 되면 (이미 번호이동을 완료한 고객들도) 당연히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약속했다.

김 대표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체결한 2조4000억원대 ‘불공정’ 논란에도 적극 해명했다.

이훈기 의원은 “MS가 5년 동안 계약물량을 다 사용하지 않아도 (KT가 MS에) 계약금액을 다 지불해야 한다. 여러 계약조건이 불합리하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이에 “5년 동안 다 사용하지 못한 물량을 추후 기간을 연장해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을 확보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KT는 지난해 9월 AI·클라우드·IT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MS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5년간 2조4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후 업계 일부에서는 MS가 KT에 약속한 내용을 이행하지 않아도 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