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가 한 달 새 무려 4번이나 국회에 출석했다. 무단 소액결제 해킹 여파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진 데 따른 결과다. 김 대표는 최근 해킹 사태에 대해 고개를 숙이면서도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전 고객 번호이동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즉답을 피했다.
김 대표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 국정감사에 나왔다. 9월 24일 KT·롯데카드 해킹 청문회를 시작으로 10월 14일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21일 과방위 국정감사까지 숨 가쁜 일정을 소화했다.
한 회사 수장이 국감 기간 한 번이 아니라 수차례 국회에 불려 나오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그만큼 국회가 이번 KT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김 대표는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부터 전 고객 위약금 면제 가능성 질의를 받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관합동조사단과 경찰 수사 결과와 고객들의 피해 내용 등을 종합 판단해서 결정해야 한다”며 판단을 유보했다.
김영섭 대표는 또 이미 번호이동을 한 고객과 관련해서는 “향후 위약금 면제를 하게 되면 (이미 번호이동을 완료한 고객들도) 당연히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약속했다.
김 대표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체결한 2조4000억원대 ‘불공정’ 논란에도 적극 해명했다.
이훈기 의원은 “MS가 5년 동안 계약물량을 다 사용하지 않아도 (KT가 MS에) 계약금액을 다 지불해야 한다. 여러 계약조건이 불합리하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이에 “5년 동안 다 사용하지 못한 물량을 추후 기간을 연장해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을 확보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KT는 지난해 9월 AI·클라우드·IT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MS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5년간 2조4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후 업계 일부에서는 MS가 KT에 약속한 내용을 이행하지 않아도 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
- “AI 해킹 고도화 속도 못 따라가”… 국회, 화이트해커 지원 확대 촉구 [국감2025]
- 배경훈 장관 “지하철 와이파이, 5G로 업그레이드 필요” [국감2025]
- “5G 제대로 하자”… 국회, 클라우드 전환·요금 인하 압박 [국감2025]
- KT·LGU+, 해킹 정황 인지하고도 늑장 신고… 과기정통부 “실수 있었다” [국감2025]
- “비싼 5G, 느린 속도”… 국회 “LTE보다 기지국 3분의 1 불과” [국감2025]
- 이정헌 의원 “해저케이블, 국가 전략 인프라로 관리해야” [국감2025]
- 홍범식 LG U+ 대표, AWS CEO와 경주 APEC서 회동
- 국회 “대포폰 10배 폭증… 방미통위·통신3사 관리 부실” [국감2025]
- 유튜브·엑스·메타 불법촬영물 신고 2년간 40만건 달해 [국감2025]
- “멀티 AI 에이전트 선도” KT, AI 스타트업과 AX 동맹
- KT 해킹 조사 ‘잠잠’… 과기정통부, SKT 때와 달라진 속도와 태도
- 김영섭 연임 포기… KT 새 대표 선임 절차 착수
- KT, 지난해 악성코드 감염서버 43대 발견하고도 미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