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모르고 기술을 몰라도 인공지능(AI)를 써야만 하는 시대에 들어섰습니다. 리벨리온은 우리나라 기업과 사용자들이 쉽고, 편하고, 경제적으로 AI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열심히 준비 중입니다.”
김광정 리벨리온 사업총괄은 14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AI&CLOUD 2025’ 콘퍼런스에서 ‘한국형 AI를 위한 추론 인프라’를 주제로 발표하며 소버린 AI 전략의 중요성과 리벨리온의 풀스택 AI 인프라 전략을 공개했다. IT조선이 주최한 이번 행사는 ‘AI 패권주의와 한국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한국의 AI·클라우드 기술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
김 총괄은 “AI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국도 독자적 AI 생태계를 갖추는 ‘소버린 AI’ 전략을 시행 중이다”라며 “자국 기술 기반의 AI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소버린 AI를 실현하기 위해선 하드웨어 인프라뿐만 아니라, 자국 데이터와 모델, AI 클라우드, 오픈소스 생태계, AI 서비스 전반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괄은 “스몰 LLM을 다양한 조합으로 써보고, 최적의 조합을 찾아 서비스화하는 기술도 중요하다”며 “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 ▲유연한 AI 인프라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다양한 AI 모델 활용성 ▲오픈소스 에코시스템 ▲국내 특화 AI 서비스 등 다섯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총괄은 “해외는 하나의 메인스트림 AI 모델을 주로 사용하지만, 한국은 다양한 오픈소스 기반의 모델과 환경을 활용하는 특징이 있다”며 “리벨리온은 이같은 국내 생태계에 맞춘 AI 하드웨어와 보안 소프트웨어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벨리온은 AI 반도체가 적용된 NPU를 설계·제조해 추론용 AI 인프라를 공급하고 있다. 김 총괄은 “온프레미스용 서버, 클라우드용 제품, AI 어플라이언스까지 국내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추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엔비디아가 AI 모델 훈련에 집중한다면 우리는 훈련된 파운데이션 모델을 경량화한 스몰 LLM을 다양한 AI 서비스에 적용하는 ‘추론’ 솔루션 중심 전략을 펼치고 있다”며 “국내 기술 기반으로 에너지 효율적이고 운영 편의성이 높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리벨리온은 AI 인프라뿐 아니라 파이토치(PyTorch) 기반 생태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리벨리온 전체 직원 중 약 4분의 1은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이며, 파이토치 공식 보드 멤버로도 활동 중이다.
김 총괄은 “거창한 소버린 AI가 아니더라도 한국 기업과 사용자가 편하고 경제적으로 한국적인 AI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리벨리온의 목표다”라고 말했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
- 방승현 한국양자산업협회장 “AI 비용 100만분의 1 가능, 양자가 해답” [2025 AI&CLOUD]
- 정지환 한컴 CTO “AI 강국 도약 위해선 고품질 데이터 확보 시급” [2025 AI&CLOUD]
- 신한은행 AI연구소장 “에이전트 기반 AI 금융 등장 머지않아” [2025 AI&CLOUD]
- 최정진 삼성SDS 그룹장 “온사이트 클라우드, ‘제로 트러스트’ 구현해야” [2025 AI&CLOUD]
- "AI 투자, 방향성 중요… 인재확보·인프라 확충 우선" [2025 AI&CLOUD]
- AI 패권 시대, 강점 집중한 ‘민-관 협력’ 전략 중요해져 (종합) [AI&CLOUD 2025]
- 리벨리온, 사우디 법인 설립 “중동 시장 공략 본격화”
- 리벨리온, AI 반도체 ‘리벨쿼드’ 공개… “블랙웰보다 1.6배 효율적”
- “기업가치 2조” 리벨리온, 누적 투자 6400억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