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모인 글로벌 디지털 자산 전문가들은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이 각국의 통화 주권을 위협한다는 데 공감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자국 통화를 기반으로 한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아울러 스테이블코인이 규제권에 진입하는 과정에선 과도한 규제가 혁신을 가로막고 본래 목적을 훼손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30일 마이클 케이시 MIT 미디어랩 디지털자산 이니셔티브 수석 고문, 루 인 솔라나 재단 APAC 사업개발 총괄, 폴 블루스타인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구원이 ‘
“한국 디지털자산 시장과 금융의 통합도 일단 시작되면 ‘빨리 빨리’라는 말처럼 상황이 매우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30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부대행사인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에 참석해 ‘제도화와 융합: 전통 금융 및 디지털 자산의 미래’를 주제로 한 패널토론에서 이같이 밝혔다.이날 오 대표는 “한국은 디지털자산 허브가 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이 협력해 시장을 더 크고 신뢰할 수 있게 만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제도화 과정에서 오 대표는 규제보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없다면 한국인들이 식료품을 살 때 달러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해야 할 겁니다. 이는 통화 주권에 실질적인 문제가 될 수 있지요.”30일 마이클 케이시 MIT 미디어랩 디지털자산이니셔티브 선임 고문이 두나무가 주최하는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에서 이같이 말했다. 케이시 고문은 ‘스테이블코인, 인공지능(AI), 그리고 프로그래머블 머니’를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섰다.케이시 고문은 “금융 시스템 문제의 본질은 신뢰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라며 “(이를) 대신해 신뢰를 위한 블록체인 프레임워크를 채택한다면 이 경우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2025’에 참가해 수소 분야 글로벌 리더로서의 입지를 강화했다.현대차그룹은 30일 진행된 포럼에서 ‘연결, 사업, 그 너머(Bridge, Business, Beyond)’를 주제로 수소 분야를 비롯해 인공지능(AI)과 디지털, 바이오·헬스, 금융·투자, 지속가능성, 지역경제 통합 등 주요 글로벌 의제에 대해 논의했다.이 자리에서 그룹은 ‘수소, 모빌리티를 넘어 사회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Hydrogen, Beyond Mobility, New Energy for Soc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30일 치킨집에서 3자 회동을 갖는다.30일 업계에 따르면 황 CEO는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그래픽카드(GPU) 브랜드 ‘지포스’ 한국 출시 25주년 기념행사를 마친 뒤 서울 삼성동 인근 깐부치킨 매장에서 이재용 회장, 정의선 회장과 ‘치맥(치킨+맥주)’을 먹을 예정이다.이번 만찬은 황 CEO의 제안으로 마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3자는 친목을 넘어 고대역폭메모리(HBM)와 AI·로봇·자율주행 분야의 협력을 폭넓게 논의할 것으로 보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미중 정상회담이 30일 오전 11시에 열린다.백악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일정표를 통해 미중 정상회담 개최 시각을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회담을 마친 뒤 미국으로 귀국할 예정이다.시진핑 주석은 11년 만에 국빈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했다. 이번 미중 정상회담은 그의 방한 첫 공식 일정이다.양국 정상은 30일 오전 11시 부산에서 회담을 갖는다. 미중 무역갈등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현안인 만큼 이번 회담 결과에 국제 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회담 이후 트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가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최고경영자(CEO)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 현장에서 만나 양사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양사 CEO를 비롯한 주요 경영진이 함께했다.30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진행된 이번 회동은 양사가 AI와 클라우드 기반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LG유플러스와 AWS는 올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뒤, 국내 기업의 AI 전환(AX)과 디지털 혁신(DX)을 지원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글로벌 정·재계 인사들과 연쇄 회동에 나섰다. 미국·중국은 물론 글로벌 빅테크와의 접점을 넓혀 반도체·배터리·AI 등 핵심 산업 협력 구도를 다지는 행보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주요 총수들은 이날 오후 러트닉 장관을 시작으로 30일 젠슨 황 엔비디아 CEO, 11월 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동한다.29일 오후에는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러트닉 장관 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방한해 한미 무역협정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왔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경주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조선업 중심의 경제 협력과 방위비 분담 확대, 핵추진잠수함 연료 공급 허용 등을 논의하며 동맹 강화를 강조했다.트럼프 대통령은 경주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만찬에서 “한국과 매우 좋은 회의를 가졌고 많은 사안을 결정했다”며 “무역협정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가 안보와 관련된 논의도 진행했다”며 “이제 주요 사안은 결론을 낼 것이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2025 경주 APEC CEO 서밋’ 특별 연설로 1박 2일 일정을 시작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1시쯤 APEC CEO 서밋이 열리는 경주 예술의전당 화랑홀 연단에 오른 뒤 “한국은 미국의 소중한 친구이자 우방국이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양국 무역 협상을 담당하는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을 호명하며 “그는 정말 터프한 협상가라고 하더라”며 “한국이 그보다 덜 뛰어난 인재를 보내길 원했는데, 한국 정부가 그렇게 하지 않았다
한국과 미국이 인공지능(AI), 양자(퀀텀), 합성생물학 등 핵심 신흥기술 분야에서 동맹 수준의 협력체계를 구축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한-미 기술번영 MOU(Technology Prosperity Deal, TPD)'을 체결하고 AI 응용·혁신 가속화와 신뢰할 수 있는 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한 공동 로드맵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앞서 양국은 1992년 과학기술협정을 시작으로 원자력, 우주 등 다양한 협정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왔다.이번 MOU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주간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경제포럼인 ‘2025 APEC CEO 서밋’이 29일 개막했다. 이번 서밋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비롯해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사이먼 칸 구글 APAC 부사장 등 국내외 정·재계 인사가 대거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경주 예술의전당 화랑홀에서 ‘2025 APEC CEO 서밋’이 공식 개최했다고 밝혔다. 개회식에는 이재명 대통령을 비롯해 국내 주요 그룹 총수와 글로벌 기업 CEO, 전문가 등 1700여명이 참석했다.우리나라에서는 서밋 의장인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을 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한국을 찾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한국 기업과의 중대 협력 발표를 예고했다.젠슨 황 CEO는 28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기술 콘퍼런스 GTC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들과 어떤 협력을 기대하는지 묻는 취재진의 질의에 삼성, SK, 현대, LG, 네이버 등을 언급하며 “한국 (첨단분야) 생태계를 보면 모든 회사가 제 깊은 친구이자 매우 좋은 파트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바라건대 제가 (한국에) 갔을 때 한국 국민과 도널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민간 경제 포럼인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이 막을 올린 가운데 4대 금융지주 회장도 총출동한다.2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양종희 KB금융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등 4대 금융지주 회장은 이날 경주에서 열리는 ‘APEC CEO 서밋’ 개막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 행사는 31일 개막하는 APEC 정상회의에 앞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민간 경제포럼으로, 글로벌 기업인 1700여 명이 함께할 예정이다.이 자리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을 기점으로 SK와 엔비디아와의 새로운 협력 발표 가능성을 시사했다.최 회장은 28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AI'을 마친 후 취재진과 만나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한국의 많은 기업과 협력 이야기를 할 것“이라며 “SK도 뭔가 새로운 얘기를 조금씩 하게 될 것 같은데 황 CEO의 발표를 들어보는 게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황 CEO는 31일 APEC CEO 서밋 특별세션에서 AI,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자율주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한국은 인공지능(AI) 시대의 테스트베드이자 글로벌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병목현상으로 지적된 반도체·에너지 문제를 한국이 ‘빠른 적응력’으로 풀어내는 한편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 협력을 축으로 한 AI 생태계 구축이 한국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최태원 회장은 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에서 지난해 AI 발전의 제약요소로 제시했던 반도체, 에너지 등의 부족현상(병목현상, bottleneck)과 관련해 “한국 혼자서 다 풀어낼 수 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 정상회의가 세계에 우리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알리는 기회의 장이 되고 있다. 삼성, SK그룹, LG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등 재계는 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부대행사인 ‘K-테크(K-Tech) 쇼케이스’에서 신제품 및 친환경 기술 소개에 나섰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K-테크 쇼케이스에서 두 번 접는 폼팩터의 스마트폰 ‘갤럭시 Z트라이폴드’ 실물을 비롯한 혁신 디스플레이 제품을 공개한다.트라이폴드 실물이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관람객이 직접 제품을 만질 수 없고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이번주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연말 인사·사업 재편을 동시에 챙기며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APEC을 계기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그룹 내부적으로는 인공지능(AI) 중심의 리밸런싱(사업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APEC 막바지 준비…“보호무역주의 시대 해법 찾는 자리”28일 재계에 따르면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이날부터 31일까지 열리는 APEC CEO 서밋 준비위원장 자격으로 막바지 점검에 한창이다.최 회
세계 경제를 이끄는 글로벌 주요 기업 리더들이 경북 경주에 집결한다. 28일부터 3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에는 주요 기업 총수, CEO들이 대거 참석해 인공지능(AI) 시대 전략 등 산업계 이슈를 논의하고 다양한 빅딜을 모색할 예정이다.대한상공회의소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민간 경제포럼인 ‘2025 APEC CEO 서밋‘을 28일부터 31일까지 연다. 행사에는 글로벌 기업 CEO 1700여명이 참석해 ‘브릿지, 비즈니스, 비욘드(Bridge, Business, Beyond, 3B)‘
삼성전자가 두 번 접는 형태의 ‘트라이폴드폰’을 연내 출시해 폴더블폰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한다. 반면 애플의 첫 ‘폴더블 아이폰’ 출시는 당초 내년에서 2027년으로 미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업계에서는 애플의 폴더블폰 진출이 늦어질수록 시장 개화도 늦춰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는다. 다만 삼성전자에는 폴더블폰 시장에서 기술력 우위를 다지고 프리미엄폰 이미지를 강화할 계기가 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2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10월 말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현장에서 트라이폴드폰 실물을 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