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에 ‘온디바이스 AI’의 활성화는 데이터센터에 가중되는 AI 워크로드의 부담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인텔은 ‘온디바이스 AI’ 활성화에 있어 더 많은 개발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2025년까지 1억 대 이상의 AI PC를 보급할 계획이다.”

최원혁 인텔코리아 상무는 19일 서울 성수동 플란트란스 성수 플래그십에서 열린 ‘AI 에브리웨어’ 쇼케이스에서 이와 같이 밝혔다. 

한편, 인텔은 25일까지 서울 성수동 플란트란스 성수 플래그십에서 ‘AI 에브리웨어’ 팝업 전시를 진행하며,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를 탑재한 최신 AI PC를 소개할 계획이다. 이번 팝업 전시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HP, 레노버(Lenovo), 에이수스(Asus), 에이서(Acer), MSI 등 주요 제조사들의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를 탑재한 노트북 12종을 체험해볼 수 있다.

이형수 HSL파트너스 대표 / 권용만 기자
이형수 HSL파트너스 대표 / 권용만 기자

“AI, 인류 문명 위한 세 번째 핵심 인프라”

이형수 HSL파트너스 대표는 이 자리에서 “인공지능(AI)은 전기, 통신에 이어 인류 문명을 위한 세 번째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 소개했다. 하지만 “현재 클라우드에서 서비스되는 AI 기술에서 문제는 ‘속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가 클라우드의 부담을 나눠 들어야 하며, 이 때 ‘온디바이스 AI’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제 AI 기술은 컴퓨팅 성능의 발전을 기반으로, 자체적으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단계에 이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 AI 기술은 더 높은 컴퓨팅 성능을 요구하고 있고, 다양한 빅테크 기업들의 경쟁 구도 속에서 컴퓨팅 인프라 확보 경쟁 또한 관건이 됐다. 아직 AI 기술은 인프라 성능이 높을 수록 기술의 성능도 높아지는 추세고, 아직 ‘피크 아웃’이 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향후 AI 기술 발전에서의 과제는 전력 소비량 등 ‘효율’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꼽혔다. 또한 앞으로는 AI 기술을 위한 ‘데이터’의 중요성 또한 부각될 것이라 덧붙였다. 이 때, ‘온디바이스 AI’는 인프라 전반의 컴퓨팅 파워와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부담, 데이터에 대한 염려 등을 덜 수 있다는 데서 AI 대중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온디바이스 AI’에서도 성능과 발열, 전력 소비량 등에서 좀 더 여유가 있는 ‘PC’에 온디바이스 AI의 킬러 앱이 먼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원혁 인텔코리아 상무 / 권용만 기자
최원혁 인텔코리아 상무 / 권용만 기자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 ‘온디바이스 AI’ 시대 계기 제시”

최원혁 인텔코리아 상무는 “ AI 시대에 데이터센터에 가중되는 AI 워크로드의 부담을 줄이는 데 있어 ‘온디바이스 AI’의 활성화가 중요하다. 또한 이는 PC 시장에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텔은 ‘온디바이스 AI’ 활성화에 있어 더 많은 개발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2025년까지 NPU를 탑재한 AI PC를 1억 대 이상 보급하고, 주요 소프트웨어 개발사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공식 발표된 인텔의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는 칩렛 구성으로 성능과 효율을 양립한 ‘3D 퍼포먼스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새로운 ‘인텔 4’ 공정 기술과 성능이 크게 높아진 ‘아크 그래픽스’ 내장 그래픽, 그리고 AI 워크로드 처리 성능과 효율을 높이는 ‘AI 부스트’ 신경망처리장치(NPU) 탑재가 특징이다. 인텔은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가 이전 세대나 경쟁사 대비 8~11% 정도 높은 프로세서 성능과 함께, 콘텐츠 제작 환경에서는 최대 40% 이상 높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에서 AI 워크로드는 특성에 따라 CPU, GPU, NPU 모두를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CPU는 ‘반응성’, GPU는 ‘처리량’에 강점이 있고, NPU는 CPU, GPU의 부담을 줄이면서 ‘저전력’에 강점을 보인다. 그리고 이전 세대 대비 GPU 기반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생성형 AI 모델에서 1.7배 성능을, 화상회의에서는 NPU 기반 AI 기능 활용시 38% 더 낮은 소비전력량을, NPU를 활용한 Int8 형식 AI 모델 연산에서는 2.5배의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원혁 상무는 “시장이 커지고 사용자가 많아져야 더 많은 개발자들이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인텔은 NPU를 탑재한 AI PC를 올해 4000만 대, 내년 6000만 대 등 내년까지 총 1억 대의 AI PC를 시장에 보급할 계획이다. 이는 개발자들에 동기 부여를 위한 목표이기도 하며, 인텔의 제품 생산 계획에도 반영돼 있다”고 온디바이스 AI와 AI PC 시대를 위한 전략을 소개했다. 

이어 “인텔은 독립 소프트웨어 개발사(ISV) 파트너들과의 협력으로, 100개 이상 ISV 파트너들이 300개 이상의 AI 기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지원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자들이 AI 기술에 더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오픈비노(OpenVINO)’ 툴킷을 지원하고 있으며, 파트너 지원을 위한 인력도 준비됐다”고 밝혔다.

권용만 기자 yongman.kwon@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