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업계가 수익 악화에 허덕이고 있다. 정부와 국회가 나서 알뜰폰 활성화를 위해 애쓰고 있지만 앞으로 추가 악재만 한가득이어서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2024년 12월 26일 오후 서울의 한 핸드폰 매장의 모습. / 뉴스1
2024년 12월 26일 오후 서울의 한 핸드폰 매장의 모습. / 뉴스1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중 알뜰폰 업체를 대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도매대가 인하 등을 포함한 알뜰폰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중소 알뜰폰 업계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입법을 예고하고 있다. 이동통신 3사, 금융권, 대기업 계열의 알뜰폰 자회사 시장 점유율을 60%(사물인터넷 회선 제외)로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대표적이다. 관련 법안은 2024년 12월 27일 소관 상임위인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문턱을 넘었으나 여당과 정부 반대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발이 묶인 상태다.

정부와 국회가 팔을 걷어붙이는 것과 달리 알뜰폰 업계는 부진한 실적에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여유모바일의 경우 2024년 12월 31일을 끝으로 사업을 접었다. 회사 측은 영업종료 이유로 "최근 몇 년간의 수익성 악화로 인해 당사의 사업 부문에 지속 가능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알뜰폰협회 회장사로 활동했던 세종텔레콤의 경우도 12년 만에 알뜰폰 사업 철수를 선언하고 '스노우맨' 브랜드 매각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세종텔레콤 알뜰폰 가입자가 16만명에 달하지만 지난해 영업손실이 60억원에 이르자 두 손을 든 것이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집계한 2024년 이동전화 번호이동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이통3사에서 알뜰폰으로의 번호이동은 100만9551건으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18.3% 감소했다. 반면 알뜰폰에서 이통3사로의 번호이동은 63만2119건으로 전년 대비 45.4% 증가했다.

여기에 이동통신 3사가 최근 5세대(5G) 이동통신보다 비싼 4세대 이동통신(LTE) 이동통신 요금제 개편에 나서면서 알뜰폰 업체로서는 가입자 추가 이탈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또 6월 27일 시행되는 단말기유통법(단통법) 폐지로 단말기 지원금 상한선이 없어지면서 통신3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달리는 알뜰폰 업계로서는 부담만 늘었다.

악재는 더 있다. 중소 알뜰폰 업체는 그간 감면받아왔던 전파사용료를 올해부터 20% 내야 한다. 2026년과 2027년에는 각각 50%와 전액을 내야 한다. 또 4월부터 알뜰폰 사업자별로 SK텔레콤과 도매대가 협상에도 직접 나서야 한다.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상황은 더 안 좋아질 것이다"며 "알뜰폰 업체 대신 정부가 나서 SK텔레콤과 도매대가 협상을 벌이는 '사전규제' 시행 등을 바라는 마음이지만 제대로 이뤄질지 미지수다"고 말했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시장을 점유율로 규제하려는 움직임으로 인해 앞으로 알뜰폰 사업은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좋지 않은 소식이 이어질 예정이어서 앞으로가 걱정이다"고 말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