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이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보다는 다소 쪼그라들었다. 1분기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관련 대규모 충당부채를 적립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은행 여의도본점 전경 / KB국민은행
KB국민은행 여의도본점 전경 / KB국민은행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3조251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5일 공시했다. 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1분기 ELS 손실 관련 대규모 충당부채 전입 영향 등으로 전년 3조2615억원 대비 0.3% 감소했다.

다만 4분기 개별 당기순이익은 6339억원으로, 전년 동기(4061억원) 대비 56.1%나 증가했다.

지난해 순이자이익은 10조2239억원으로, 전년 9조8701억원 대비 3.6%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7% 증가한 5조398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원화대출금은 약 363조6000억원으로 같은 해 9월 말 대비 0.5%, 전년 말 대비 6.4% 증가했다. 가계대출은 기준금리 인하와 부동산시장 거래량 증가에 따른 대출수요 확대로 전년 말 대비 6.2% 증가했고, 기업대출도 같은 기간 6.6% 증가했다.

지난해 연간 순이자마진(NIM)은 1.78%로 전년 대비 5bp(1bp=0.01%포인트) 하락했다. KB국민은행 측은 "기준금리 인하 영향이 시장금리에 3분기부터 조기 반영됐음에도 불구하고, 조달비용 감소 등의 내실 중심의 수익성 관리 역량을 발휘하며 그 하락폭이 제한된 결과"라고 말했다.

4분기 NIM은 1.72%로 전분기 대비 1bp 상승했다. 분기 중 두 차례의 기준금리 하락 영향에도 불구하고 조달비용이 개선됐데 따른 것이라고 국민은행은 설명했다. 

지난해 대손충당금전입비율(CCR)은 전년도 선제적 추가 충당금 적립 기저효과와 연중 대손충당금 환입 영향으로 전년 대비 개선된 0.12%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연체율은 0.29%,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32%로 아직까지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 NPL커버리지비율은 202.5%로 집계됐다.

김경아 기자
kimka@chosunbiz.com

관련기사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