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검색과 쇼핑과 예약 등 개별 서비스에 흩어져 있던 기능을 하나로 묶는 통합 AI 에이전트 ‘에이전트N’을 공개했다. 네이버는 이용자의 상황과 의도를 AI가 먼저 파악해 추천과 구매와 실행까지 이어지는 일상형 서비스로 확장하겠다는 구상이다.
6일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콘퍼런스 ‘단25’에서 내년 초 쇼핑 AI 에이전트를 시작으로 에이전트N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에이전트N은 검색, 구매, 예약, 결제 등 네이버 이용자의 행동 맥락을 이해하고 모든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해 끊김 없는(seamless) 경험 제공이 목표다. AI가 상황을 이해하고 적절한 선택을 제안하거나 실행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네이버 쇼핑 AI 에이전트는 이용자의 예산, 취향, 검색 이력, 상품 리뷰 반응 등을 통합 분석해 상황에 맞는 제품을 추천한다. 이후 장바구니 담기나 구매·결제까지도 AI가 수행한다.
최 대표는 “생성형 AI가 이용자의 의도를 더욱 정확히 이해해 콘텐츠와 상품, 서비스로 연결하고 검색을 통해 정보를 얻는 데서 나아가 실행으로 이어지는 경험으로 확장할 예정이다”라며 “통합 에이전트 단계에 이르면 앞으로 이용자가 어떤 검색어를 입력할지 고민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네이버는 내년 상반기 통합 검색에 ‘AI 탭’을 신설한다. 최 대표는 “AI 서비스가 이미 많고 앞으로 더 많아지겠지만 하나의 플랫폼에서 검색부터 일상의 경험, 실행까지 하나의 일련된 자연스러운 경험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기업은 흔치 않다”며 “네이버의 방향이 AI 시대 사용자 경험의 표준이 될 것이라 자부한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일반 이용자용 에이전트 외에도 파트너·파트너사를 위한 ‘에이전트N 포 비즈니스’도 함께 개발하고 있다. 에이전트N 포 비즈니스는 광고, 고객관계관리(CRM), 가격 전략 등 파트너 성장을 위해 필요한 여러 분야를 아우른다. 에이전트N 포 비즈니스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이용자의 산업을 분석해 상황을 진단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을 제안한다. 제안한 솔루션의 실제 실행도 가능하다.
최 대표는 “네이버가 고민하는 혁신의 아이디어를 현실화시키는 힘의 원천은 네이버가 데이터센터부터 클라우드, 서비스까지 기술의 전 과정을 스스로 설계하고 실행하는 풀스택 AI 기업이기 때문이다”라며 “이 모든 일을 뒷받침할 확장 가능한 고성능 그래픽장치(GPU) 인프라와 데이터센터 기반도 충분히 확보해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새로운 시대를 맞아 한국의 AI는 예전 브로드밴드 시절처럼 인프라에서 서비스로, 서비스에서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며 “반도체, 자동차, 조선, 방산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제조 경쟁력에 네이버의 독보적인 AI 중심의 소프트웨어 혁신이 만날 때 대한민국 산업의 AI 전환은 본격화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
- 최수연 네이버 대표 “엔비디아 GPU 6만장 확보”
- 네이버, 3분기 역대 최대 실적… 분기 매출 3조 돌파
- 최수연 네이버 대표, 경주 ‘비로컬위크’ 방문… “디지털 로컬 생태계 성장 지원”
- 최수연 네이버 대표 “AI 데이터센터 제도적 지원, 산업 현장에 활력”
- 정신아 대표 “카톡, AI로 누구나 편리한 일상을”
- 네이버 AI 목표도 “AI가 알아서 딱 센스 있게”
- 美 SNS 스냅챗에 퍼플렉시티 AI 탑재…4억弗 규모 파트너십
- “인간형 로봇, 11월 중 네이버 사옥 걷는다”
- 오픈AI “IPO는 아직, 수익성보다 성장에 집중”
- 정신아 대표 “카카오 목표는 에이전틱 AI… 신규 매출원으로 진화”
- 네이버·카카오 “검색 vs 대화”… 접점은 ‘선제형 AI’
- 결국은 광고 전쟁… 네이버·카카오 AI 대결의 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