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로보락 등 중국산 로봇청소기의 국민 개인정보 무단 수집을 사실상 방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해킹 관련 소관기관 국정감사에서 “국내 점유율 1위 로보락 제품에는 카메라와 마이크가 설치돼 있고 블루투스가 연결돼 있어 내부 데이터를 모두 수집할 수 있다”며 “해커가 마음만 먹으면 원격으로 카메라를 조종할 수 있어 외부 유출 위험이 크다”고 우려했다.
그는 “로보락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보면 ‘귀하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중국에서 수집·처리한다’고 명시돼 있다. 즉, 개인정보가 중국으로 전송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상중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은 “현재 사물인터넷(IoT) 보안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KISA에 위탁해 IoT 보안 인증제를 시행 중이다.
이정헌 의원은 “우리나라 IoT 제품 생산 업체가 약 3000곳에 달하지만 올해 인증을 신청한 곳은 13개에 불과하고, 지난해에도 33개뿐이었다”며 “이 중 해외 업체는 단 한 곳도 없어 제도가 사실상 유명무실하다”고 비판했다.
이상중 원장은 “현재는 자율 인증제이지만, 의무화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의원님 지적에 공감한다”며 “과기정통부도 지난 9월 한국소비자원과 함께 국내외 로봇청소기의 보안 실태를 점검해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
관련기사
- 류제명 과기정통부 차관 “연이은 사이버 보안사고, 국민께 송구” [국감2025]
- SK쉴더스, 해킹 경고 2차례 무시…정부엔 ‘늑장 신고’
- ‘6조 실탄 보유’ 통신3사… 보안·AI 투자 확대 과제 직면
- 통신사 요금제만 718개… 정부, 5G·LTE 구분 없앤 ‘통합요금제’ 추진
- 정부, 동남아 취업 미끼 광고 삭제·차단 추진
- KT, 해킹 피해 ‘오락가락’…정부 수사 착수·국회 추궁 예고
- 국회 “KT, 위약금 면제해야”…정부 “종합 검토” [국감2025]
- 홍범식 LG U+ 대표 “정부에 해킹 피해 신고하겠다” [국감2025]
- 김영섭 KT 대표 “해킹 사태 수습 후 책임질 터” [국감2025]
- 정부 “KT, 위약금 거부 시 영업정지도 가능” [국감2025]
- “제2의 국정자원 화재 발생 위험”… 정부 “조속히 보완조치” [국감2025]
- 유영상 SKT 대표 “위약금 면제 시 7조원 손실 발언, 혼선 드려 송구” [국감2025]
- LGU+ ‘데이터 유출 무침해’ 주장에 국회 질타…“논리 안 맞는다” [국감2025]
- 김영섭 KT 대표 “사태 수습이 우선…이후 경영 책임질 터” [국감2025]
- “멤버십포인트·데이터 개선” 압박에 고민 깊어진 통신사
- ‘다 털린 통신3사’…소비자 분노 “이제 어디로 가나”
- 돈 들여 사놓고 못쓰는 출연연 기술, 3년간 73% 급증 [국감2025]
- 이정헌 의원, 과학기술·자율주행 상용화 촉진법 등 7개 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