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가 이동통신 3사에 ‘판매장려금과 거래조건’ 등을 담합했다는 혐의로 과징금 약 3조4000억원에서 5조5000억원을 부과하는 조치의견을 내부적으로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동통신 3사 담합 의혹과 관련해 이같은 과징금 조치의견을 내부적으로 정하고 내년초 1심 격인 공정위 전원회의 일정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정위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심사보고서를 방통위,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에 발송했고 다음 달 이동통신 주무기관인 방통위는 각 사의 의견청취 등 후속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부과 액수는 SK텔레콤 1조4091억원 ~ 2조1960억원, KT 1조134억원 ~ 1조6890억원, LG유플러스 9851억원 ~ 1조6418억원 수준이다.
이통사들은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방송통신위원회의 행정지도를 따른 것이다”는 입장으로 방통위도 공정위에 “이통사들의 행위가 담합으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위는 이들 회사가 2015년부터 휴대전화 번호이동 시장에서 판매장려금과 거래조건 거래량 등을 담합했다는 혐의를 적용했다. 소비자가 핸드폰 단말기를 살 때 받는 지원금은 주로 통신사의 공시지원금과 판매·대리점의 추가지원금으로 나뉘는데 추가지원금은 통신사가 판매 · 대리점에 지급하는 판매장려금으로 마련된다.
공정위는 통신3사가 번호이동 등 순증감 건수 현황을 공유하면서 서로 가입자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판매장려금을 조절했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통신사들은 방통위와 KAIT에서 운영하는 번호이동 상황반을 통해 이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방통위와 이통사들은 2014년 10월 시행한 단통법을 기반으로 한 방통위의 행정지도일뿐이라는 입장이다. 방통위는 단통법 도입 이후 판매장려금을 30만원 이내로 맞추라는 행정지도를 해왔다. 통신3사에는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번호 이동시스템을 활용해 번호이동 건수를 20~30분 간격으로 공유하도록 지시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통위는 공정위에도 이를 근거로 “통신3사의 행위가 담합으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최수진 의원은 “방통위가 위원장 탄핵과 선임 반복, 방송 관련 국회 자료 요청 압박 등으로 사실상 업무가 마비된 상태다”며 “방통위가 비정상적 으로 운영되면서 부처 간 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사실상 방통위 업무수행의 적법성과 정당성을 공정위가 사후적으로 평가하려 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최 의원은 “천문학적 과징금 예고에 통신 3사의 인공지능(AI)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며 “각 이통사들이 AI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를 강조하고 있지만 매출액에 버금가는 과징금을 받으면 투자가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이번 액수는 공정위 심사보고서상의 조치의견으로 전원회의 등을 거쳐 줄어 들거나 조정될 수 있다는 게 최수진 의원의 설명이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
- “방통위 방치 속에 뛰는 불법보조금… 법 집행 포기”
- “공정위, 통신시장 이해 없이 과도한 과징금 예고… 방통위 나서야”
- 밀려드는 과징금 쓰나미에 벌벌 떠는 이통사
- 공정위 '판매장려금 담합 의혹' 이통3사 제재 절차 착수
- ‘여소야대’는 통신비에 어떤 영향 끼칠까
- 통신3사 '판매장려금 담합' 의혹, 부처간 입장 차이에 숨죽이는 업계
- 단통법 폐지, 한고비 넘겼다… 효과엔 여전히 ‘물음표’
- 운명의 5조5000억… 통신3사·공정위 불꽃 소송전 예상
- [단독] 통신3사 ‘공공 입찰 담합’으로 억대 배상금 물어야
- ‘판매장려금 담합’ 통신3사에 1140억원 과징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