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형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위한 5개 정예팀을 최종 선정했다.

. / 챗GPT 생성
. / 챗GPT 생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할 최종 5개 컨소시엄을 발표했다. 5개 컨소시엄은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등이다. 3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이들은 향후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한국형 소버린 AI(주권 AI) 개발에 나선다.

이번 사업은 서면평가로 15개 지원팀을 10개로 압축한 뒤,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 5개 팀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발표평가에서는 각 팀의 기술력과 개발 경험, 목표의 구체성, 전략과 기술의 우수성, 산업적 파급효과와 사회적 기여계획 등을 종합 검토했다.

과기정통부는 “선정된 정예팀은 모두 높은 수준의 AI 모델 개발 역량을 입증했다”며 “특히 외산 모델 의존이 아닌, 처음부터 독자 기술로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소버린 AI 철학을 명확히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5개 정예팀은 개발한 AI 모델을 국내 기업들이 상업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고도화된 오픈소스 정책을 내세웠다. 이를 통해 AI 생태계 확장과 다양한 서비스 개발 촉진, 국민 AI 접근성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일부 팀은 언어모델을 넘어 멀티모달, 옴니모델 등으로 기술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수준 AI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는 구체적 전략도 제시했다.

정부는 이들 정예팀에 데이터, GPU, 인재 등 다방면의 지원을 제공한다. 데이터 분야에서는 데이터 공동구매에 100억원, 각 팀별 데이터셋 구축·가공에 28억원씩, 고품질 방송영상 학습용 데이터 구축에 200억원을 투입한다.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통계청, 특허청, 한국문화정보원 등 공공기관이 보유한 고품질 데이터와 전문서적, 시험문제 등도 9월부터 제공할 예정이다.

GPU 지원은 SK텔레콤과 네이버클라우드가 정부에 GPU를 임대하는 공급사로 선정됐다. 이로 인해 해당 기업이 포함된 정예팀(SK텔레콤, 네이버클라우드)은 GPU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대신 업스테이지, NC AI,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등 3개 정예팀에 GPU를 지원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엔비디아 B200 1024장을 2개 정예팀에, 네이버클라우드는 H100 1024장을 1개 정예팀에 공급한다.

인재 분야에서는 업스테이지 정예팀이 해외 우수 연구자 유치를 희망함에 따라 정부가 인건비와 연구비를 매칭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발표평가에서 도출된 의견을 반영해 사업비 심의·조정 절차를 거쳐 각 정예팀의 사업 범위와 지원 내역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8월 초 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이 시작된다. 올해 말에는 1차 단계평가를 통해 5개 팀 중 1개 팀을 탈락시켜 4개 팀 체제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조만간 5개 정예팀의 착수식을 열고 이들에게 ‘K-AI 모델’, ‘K-AI 기업’이라는 명칭을 부여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각 팀이 개발하는 AI 모델의 생태계 확장과 국민 AI 접근성 증진, 공공·경제·사회 전 분야의 AI 대전환, 국방·안보적 활용 등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프로젝트는 시작에 불과하며 ‘모두의 AI’라는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다”라며 “대한민국 AI 기업·기관들의 도약과 소버린 AI 생태계 확장을 정부가 끝까지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

관련기사